목록2025/02/17 (1)
엔지니어 블로그

아키텍처가 나온 후 인프라 구성에 들어갔다. 이전 글에 적어 둔 것처럼 k3s위에 airflow를 올려서 사용 할 예정이다.k3s의 설치는 아주 간단하다. 내부적으로 설정을 잡아 줄 일이 있다면 복잡해지지만, 단순히 설치만 하고 사용 할 것이라면 설치 스크립트 하나로 설치가 가능하다. Executor vs PodOperatorkubernetes에 airflow를 구성할 때 2가지 방식을 고려해 볼 수 있다. 제목에 있는 것 처럼 KubernetesExecutor와 KubernetesPodOperator를 사용하는 것이다. 두 방식의 차이는 결국 executor와 operator의 차이다. Executor는 task의 실행 방법을 결정한다. 대표적인 설정은 Celery,Local,Kubernetes등이 있..
개인 프로젝트/Data Pipeline 프로젝트
2025. 2. 17. 11:58